본문 바로가기
육아 박스

육아휴직 4대보험 납입유예신청 일괄처리방법(4대보험 통합징수포털)

by 뮤랜이 2023. 7. 8.

육아휴직4대보험납입유예신청일괄처리방법-4대보험통합징수포털-텍스트이미지

 육아휴직기간에 4대 보험 유예신청하는 각각의 방법과 그중 4대 보험 통합징수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 및 고용보험 유예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1. 국민연금 납입예외신청

 국민연금은 출산휴가의 경우에는 우선지원 대상기업일 경우에는 90일간 납부예외신청이 가능하고, 우선지원 대상기업이 아닌 경우에는 30일만 납부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만약 공단지원금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회사에서 지급하는 경우에는 그 금액이 기준 소득월액의 50% 미만일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기준 월소득액이 400만 원인 사람이 월 150만 원을 지급받고, 회사로부터 받은 급여가 250만 원인 경우에는, 기준 소득월액의 50%인 200만 원이 초과하기 때문에 납부예외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육아휴직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지급받는 금액이 없기 때문에, 휴직 기간 동안 납부예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휴직기간 동안 내야 할 금액을 나중에 납부하는 것이 아닌 유예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직 후에 추가로 납부하는 금액이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싶을 때에는 본래 회사와 근로자가 50%씩 납부하던 금액을 근로자가 100% 납부해야 하는 점은 주의하셔야 할 것입니다. 

납입예외신청 방법

NPS국민연금사이트에 접속후 EDI서비스에 로그인하여 신고서 작성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육아휴직이 끝나고 복직하게 되면 납부재개신고를 해야 합니다.

  1. 사업장 로그인을 해줍니다.
  2. 메뉴 중 연금고유 신고 -> 사업장가입자 연금보험료 납부예외 신청서를 눌러줍니다.
  3. 사업장가입자 연금보험료 납부예외신청서를 작성해 줍니다.
  4. 주민번호, 성명, 산전 후 휴가 및 육아휴직, 납부예외 시작일 및 육아휴직 종료일을 작성하고 제출해 줍니다.

02. 건강보험 휴직자 등 보험료 납입고지 유예신청

 건강보험은 출산휴가 기간에는 유예가 불가능하고 육아휴직 경우에는 납부유예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복직 후에는, 휴직기간 동안 납부하지 않았던 보험료를 일괄청구 하기 때문에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예전에는 금액이 지금보다 높았지만, 2019년 1월 1일 이후에는 육아휴직 시에도 건강보험료를 하한금액까지 경감하게 되어 많이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건강보험법 제69조 6항에 따른, 보수월액보험료 하한금액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상한액 - 3,322,170원

하한액 - 18,600원

즉, 1개월에 회사와 본인이 각각 9,300원을 납부하면 되고 12개월 육아휴직시 111,600원을 납부하면 됩니다.

*육아휴직이 끝나고 복직하게 되면 납입고지 유예해지 신청을 해야 합니다.

납입고지 유예신청 방법

건강보험 사이트에 접속해서  EDI서비스에서 유예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1. 전체서식을 눌러줍니다.
  2. 건강보험 신고신청-> 휴직자 등 직장가입자 보험료 납입고지 유예(해지) 신청서를 눌러줍니다.
  3. 휴직자 등 직장가입자 보험료 납입고지 유예(해지)신청서를 작성해 줍니다.
  4. 신청구분 신청을 선택하고, 성명, 주민번호, 육아휴직 시작일, 해지예정일, 유예사유에 육아휴직을 입력하고 신고 전송해 줍니다.

03. 고용보험, 산재보험 근로자 휴직 등 신고

 고용, 산재보험은 고용산재 토탈서비스에서 근로자 등 휴직 신청을 통해 육아휴직 근로자의 보험료를 유예할 수 있습니다. 

납부유예신청

고용. 산재보험 토탈 서비스에 접속하여 신청해 주시면 됩니다.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은 복직 후 추가로 제출해야 할 서류는 없습니다. 

  1. 민원접수/신고를 눌러줍니다.
  2. 자격관리->근로자 휴직 등 신고를 눌러줍니다.
  3. 작성방법 선택 후 화면입력방식을 선택해 준 후 신고서를 작성해 줍니다.
  4. 보험구분은 고용보험 산재보험 둘 다 선택해 줍니다.
  5. 근로자 휴직 내역(보험구분, 주민번호, 성명, 휴직시작일, 휴직종료일, 휴직사유를 입력해 줍니다.)
  6. 입력 완료 후 대상자 추가를 놀러 주고 신고자료 검증 후 접수해 줍니다.

04. 4대 보험 통합징수포털 사이트

 각각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청하는 방법 이외에 4대 보험 통합징수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한번에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신청하는 방법은 기존의 사이트에 접속해서 하는 방법과 유사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대보험통합징수포털사이트신청방법
4대보험통합징수포털사이트신청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