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접속을 합니다.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B[2/2]
사이트 내 전체검색
efamily.scourt.go.kr

02. 인터넷 신고 -> 출생 선택을 합니다.

03. 병원 선택후 의료기관명 선택을 하고 조회를 누릅니다.

04. 여기서 주의할점!! 병원에 온라인출생신고한다고 하면서 제3제 제공에 관한 동의서를 제출해주라고 요청을 미리한후 여기에 예를 선택해야합니다.

05. 예를 선택하고 확인 선택을 합니다.

06. 약관 동의 체크 후 확인선택을 합니다.

07. 내국인 체크, 부,모 체크, 성명 주민번호, 주소, 휴대전화 이메일 선택한후 처리결과 체크후 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로 인증하면 됩니다.

08. 출생신고 자녀의 성이 엄마의 성을 따르게 하는게 아니라면 아니오를 선택하고
자녀의 이름 한자 출생일시 출생장소를 입력을 합니다.
*등록기준지를 입력할때 부모의 등록기준지로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부모의 최종졸업학교를 적고 다음화면을 클릭하면 됩니다.

09. 미리 발급받은 출생증명서를 첨부해주면 됩니다.

10.출생한후 병원에 요청하면 출생신고서를 발급해줍니다
보통 1장은 무료고 두번째 발급받을때부터는 비용이 추가되는걸로 보입니다.

11. 마지막으로 신고내용을 확인한 후 잘못된게 없다면 지금 제출하기를 클릭하면되고, 혹시 3자동의나 미흡한점이 있어서 바로 제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나중에 제출하기를 클릭해서 추후에 제출할수도 있습니다.

12. 제출하기를 한후에 처리내역 확인으로 들어가서 신고인의 성명, 주민번호를 누르고 조회를 하면 현재 진행단계를 알수있습니다.
보통 1~2주정도 소요된다고 보면됩니다.

신고확인서를 클릭하여 확인하면 출생신고서 제출한 양식을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출생신고서 온라인으로 편하게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육아 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아이돌봄지원사업 내용과 서비스 신청방법 (0) | 2023.06.12 |
---|---|
35세 이후의 임신 문제점과 관리방법 (0) | 2023.06.12 |
나이와 임신 능력 상관관계 (0) | 2023.06.10 |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방법 (0) | 2023.05.31 |
마이크로 미니 킥보드 (0) | 2023.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