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일 테슬라 주가는 +5.34% 상승하여, 274.45달러로 마감하였습니다. 테슬라의 충전 표준에 합류하는 기업 증가, 중국 시장 경기 회복 기대, 인도 시장 진출 가능성이 호재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1. 리비안,테슬라 충전 표준에 합류
-완성차 업체인 리비안도 테슬라 충전 표준에 합류하였습니다. 이로서 포트, GM, 벤츠, 스텔란티스에 이어 리비안도 테슬라 충전 규격을 채택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충전 사업자 합류가 증가(Charge point, EV Go) 하고 있고, 충전 기업체 합류가 증가( ABB, Tritium, SK시그넷에 이어 BTC Power 합류 발표)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과 VW만 남았으며, 현대차그룹은 검토 중이나, 초고속 충전(800V)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한국이 CCS1 인 점을 감안하여 유보 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02. 중국 경기 회복 기대
-테슬라의 중국 보험 등록 대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5월 첫 주 5900대/5월 둘째 주 10,200대 / 5월 셋째 주 12,800대 / 5월 넷째 주 14,500대/ 6월 첫 주 16,400대 / 6월 둘째 주 14,500대로 점점 증가추세이다.
-미국 화해 무드로, 중국에서 FSD 배타 배포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도로환경에 대한 데이터 축척이 필요하며, 안보와 관련, 테슬라의 기술 완성도와 무관하게 정치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영역이기 때문에 미중 화애 무드로 가능성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모델 3의 F/L(페이스리프트)가 3분기 말 예상되고 있어 7년 만의 파격 변화라 기대감을 주고 있다.
03. 인도시장 진출 가능성
-인도 시장은 고성장 시장이나, 높은 수입관세가 주목할만한 문제이다. 2023년 인동 GDP 2,700달러 예상으로 Motorization 시기 진입하였다. 그러나 자동차 수입관세가 70%~100%로 현지공장 없이 사업이 불가능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나마 매력적인 사항이 전기차 보조금이 가격의 20%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 등 불안정으로 인하여 전기차 침투율은 1%에 불가하다.(그렇기 때문에 엄청난 성장의 가능성이 내재되어있다고 본다)
- TaTa가 M/S 85%로 독점 사업자이며, 현대차는 2024년에 Creta EV 출시 예정이다.
-6월 20일 일론머스크와 모디 총리 면담이 있었는데 인도 공장 건설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론머스크는 다음 주에 인도 방문이 예정되어 있다.
-테슬라의 이러한 호재들은 한국 부품사에 호재로 다가올 수 있으며, 한국부품사는 20년 전에 현대차/기아와 동반 진출하여 생산 안정화 상태로, 테슬라 진출 시 수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포스팅은 특정 종목의 추천이 아니므로 투자에 유의하시기바람니다.
'주식 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ISA계좌 세금 개정사항 정리 및 대안제시 (2) | 2025.02.13 |
---|---|
레버리지 ETF 변동성 끌림(Volatility Decay)과 유의사항 (0) | 2023.07.06 |
테슬라주식(기업개요,투자의견,주요이슈 및 전망) (0) | 2023.06.16 |
가치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 활용법 (0) | 2023.06.13 |
MTS 활용법 정리 (0) | 2023.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