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치투자를 위해 많은 자료들을 확인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간단한 재무제표만 확인하고 투자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재무제표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
1. 재무제표는 포괄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세 가지 항목이 있다. 모든 항목을 하나하나 분석하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 몇 가지라도 이해한다면 가지투자에 도움이 된다.
포괄손익계산서
2. 포괄손익계산서에는 총 포괄손익을 보면서 매년 성장하는 기업인지, 흑자기업인지 또는 적자로 돌아서서 역성장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자산에 관하여
3. 재무상태표에서는 자산에 대해 설명한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으로 이루어져 잇다.
- 매년 자산이 증가한다면 회사의 규모나 보유자금이 매년 커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좋은 신호이다. (하지만 자산은 회사가 돈을 많이 벌어도 증가하지만, 부채를 많이 일으켜도 증가하기 때문에 부채비율도 꼭 확인해야 한다.)
- 자산을 유동성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뉜다.( 유동자산은 보통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며, 재고자산은 회계조작의 대상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는 좀 더 세밀하게 확인해보아야 한다.)
- 비유동자산에서 부동산은 중요한 사항이다. (비유동 자산에는 유형자산인 건물과 토지, 공장, 차량 등 형태가 있는 자산이며, 무형자산은 영업권, 특허권 같은 형태가 없는 자산이다.)
- 부채는 자본 대비 100% 이내일 경우 안전하다. 하지만 성장성이 큰 기업일 경우 100% 이상이라고 무조건 나쁜 기업은 아니다.
- 자본에서는 이익잉여금이 자본 대비 50프로 이상인지, 성장주의 경우에는 최소 30프로 이상이 지를 살펴보자.
현금흐름표에서 보아야 할 것
4. 현금흐름표에서는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을 통해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나가는지 확인하면서 기업의 성장성이나 안정성을 판단해보아야 한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영업활동을 통해서 얼마만큼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 알려주는 것이며,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벌어들인 돈으로 투자를 했다면 마이너스 그 투자를 통해서 돈이 들어오면 플러스가 된다. 끝으로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영업이나 투자를 위해 외부에서 돈을 마련해 오거나, 배당금지급, 유상증자 등의 재무활동으로 돈이 이동한 흐름을 표시해 준다.
*포괄손익 : 한 회계 기간 동안 손익 거래로 발생되는 모든 손익
* 자산 : 자산 = 부채+자본=유동자산+비유동자산
(자본 = 자산 - 부채 )
*이익잉여금 : 회사에서 돈을 벌어서 지출할 곳에 모두 지출한 다음, 회사에 모아둔 현금이다.
'주식 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20일 테슬라 주가 및 시황 (0) | 2023.06.21 |
---|---|
테슬라주식(기업개요,투자의견,주요이슈 및 전망) (0) | 2023.06.16 |
MTS 활용법 정리 (0) | 2023.06.11 |
주식분석 심플하게하자 (0) | 2023.06.08 |
기업분석 5분만에 끝내기 (0) | 2023.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