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박스

TQQQ SOXL 투자, 변동성 끌림 주의! 고금리 시대 생존 전략

by 뮤랜이 2025. 4. 16.

 이번 시간에는 변동성 끌림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나스닥 3배 레버리지 ETF인 TQQQ와 미국 반도체 ETF 3배 레버리지 SOXL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유의사항, 특히 현재와 같은 고금리 환경에서 투자 손실을 막고 현명하게 투자할 수 있는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레버리지 ETF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보시고 투자 판단에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01. 변동성 끌림이란? (레버리지 ETF 투자 핵심 개념)

레버리지 상품인 특정 지수를 배수로 추종하는 상품을 운용할 때, 특성상 변동성 끌림에 의해 자신의 평가금액이 감소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3 배수인 ETF는 무조건 변동성 끌림이 발생하며 TQQQ와 SOXL을 비교해 봤을 때 SOXL이 변동성 끌림이 더 큰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1 배수인 지수가 변동성이 크게 되면 그만큼 3 배수의 레버리지 상품은 그에 따라서 변동성 끌림이 더 크게 작용하여 거치식으로 두었을 경우 원래의 지수로 회복했을 때 변동성 끌림에 의해서 기존 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게 됩니다.

변동성 끌림, 숫자로 쉽게 이해하기:

나스닥 기본 지수인 QQQ, QLD, TQQQ를 초기 가격 10,000으로 가정하여 상승과 하락 시나리오를 통해 변동성 끌림을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레버리지 ETF가 하루에 10%씩 상승할 경우 (양의 복리 효과)>

영업일 등락 1배(QQQ) 2배(QLD) 3배(TQQQ)
1 10% 11,000 12,000 13,000
2 10% 12,100 14,400 16,900
3 10% 13,310 17,280 21,970
4 10% 14,641 20,736 28,561
5 10% 16,105 24,883 37,129

<레버리지 ETF가 하루에 10%씩 상승하락을 반복할 경우 (음의 복리 효과, 변동성 끌림)>

영업일 등락 1배(QQQ) 2배(QLD) 3배(TQQQ)
1 -10% 9,000 8,000 7,000
2 +10% 9,900 9,600 9,100
3 -10% 8,910 7,680 6,370
4 +10% 9,801 9,216 8,281

02. TQQQ 변동성 끌림 심층 분석 (최신 업데이트)

다음은 최근 12년간의 연도별 수익률을 나타낸 표입니다.

연도 QQQ 연간 수익률 QLD 연간 수익률 TQQQ 연간 수익률
2013 38.32% 77.52% 235.74%
2014 19.30% 38.30% 58.90%
2015 9.81% 19.21% 27.80%
2016 7.09% 13.83% 17.56%
2017 32.56% 65.31% 195.34%
2018 -0.23% -0.47% -1.20%
2019 39.20% 78.50% 238.90%
2020 48.47% 97.29% 350.83%
2021 21.39% 42.52% 120.33%
2022 -32.54% -64.83% -80.83%
2023 54.92% 109.60% 268.82%
2024 43.24% 86.09% 215.74%

 

QQQ의 최근 12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약 15.5%입니다. 동일한 기간 QLD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29%, TQQQ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38%로 나타났습니다. 단순 계산된 수익률에 비해 낮은 수치는 변동성 끌림의 영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TQQQ의 현재 운용 보수는 약 0.86%입니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컸던 지난 1개월간의 실제 수익률 (2025년 3월 16일 ~ 2025년 4월 16일 기준)을 최근 12년간의 연평균 수익률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TF 최근 12년간 연평균 수익률 최근 1개월 수익률
QQQ 약 15.5% -4.0%
QLD 약 29% -8.1%
TQQQ 약 38% -12.2%

참고: 위 표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며,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레버리지 ETF는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03. SOXL 변동성 끌림 심층 분석

SOXX의 최근 12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약 22%입니다. 같은 기간 2배 레버리지 ETF인 USD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29%, 3배 레버리지 ETF인 SOXL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32%로 나타났습니다. SOXL의 현재 운용 보수는 약 0.95%입니다. SOXL은 변동성이 더욱 커 변동성 끌림의 영향이 TQQQ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04. TQQQ 투자,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세요! 

  • 장기 투자보다는 시장 흐름에 따른 단기 또는 중기 투자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 변동성이 큰 구간에서는 적립식 투자를 고려하여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꾸준한 현금 흐름이 있을 때 투자하는 것이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 장기 보유 시에는 2배 레버리지인 QLD를 대안으로 고려하거나, TQQQ 비중을 조절하며 관리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최근 고금리 환경은 TQQQ의 운용 비용 증가로 이어져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05. SOXL 투자, 주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 

  • TQQQ보다 변동성이 훨씬 크므로 투자에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 장기 투자보다는 변동성을 활용한 단기 트레이딩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적립식 투자 시에도 높은 변동성 끌림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2배 레버리지 ETF인 USD를 대안으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높은 변동성을 관리하기 위해 TQQQ보다 더 많은 현금 비중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최근 고금리 환경은 SOXL의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켜 변동성 끌림 외 추가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06.  고금리 시대, 레버리지 ETF 투자 비용 증가 주의! 

최근 미국 기준금리가 약 4.5%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레버리지 ETF 투자 시 비용 측면에서 과거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미국 기준금리가 최저 0.25%까지 인하되었던 시기와 비교하면 그 차이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높은 금리는 레버리지 ETF가 활용하는 스왑 계약이나 차입과 같은 금융 상품의 비용 증가로 이어져 ETF 운용 비용 상승을 유발하고, 이는 투자 수익률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기준금리 최저 0.25%): 당시에는 기준금리가 역사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레버리지 ETF가 자금을 조달하거나 스왑 계약을 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극히 적었습니다. 이는 운용 비용 부담을 줄여 레버리지 ETF의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 현재 (기준금리 약 4.5%): 현재 기준금리는 팬데믹 시기 최저점 대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TQQQ와 SOXL과 같은 레버리지 ETF가 동일한 수준의 레버리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이자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ETF의 운용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투자자가 부담해야 하는 총비용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투자 수익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간단히 말해, 금리가 0.25% 수준이었을 때는 레버리지 ETF 운용에 따른 금융 비용 부담이 매우 적었지만, 현재 4.5% 수준의 금리에서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변동성 끌림으로 인한 잠재적 손실 외에도 추가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여 레버리지 ETF 투자 시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07. 결론: 레버리지 ETF, 제대로 알고 투자해야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TQQQ와 SOXL은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변동성 끌림과 고금리라는 투자 환경 변화에 따라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투자는 위험하며,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투자 기간, 그리고 운용 가능한 현금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상승장에서의 높은 수익률만 쫓기보다는 하락장에서의 손실 가능성과 변동성 끌림, 그리고 금리 변동에 따른 비용 증가 가능성까지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투자 전에는 반드시 충분한 정보를 습득하고, 필요하다면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