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박스39 [4/17 미증시 시황] TSMC 실적 '환호' vs UNH '급락'… 혼조세 속 주간 하락 마감 (굿프라이데이 휴장) 안녕하세요 뮤랜입니다. 2025년 4월 17일 (목요일, 미국 현지 시간 기준) 마감된 미국 증시 시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뉴욕 증시는 이번 주 마지막 거래일을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의 강력한 실적 발표가 반도체 및 기술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대형 건강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UNH)의 실적 전망치 하향 충격이 다우 지수를 크게 끌어내렸습니다. 발표된 경제 지표 역시 엇갈린 신호를 보내며 시장의 방향성을 잡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로써 증시는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던 한 주를 결국 하락으로 마무리했습니다. (4월 18일은 성 금요일로 미국 증시 휴장)📈 주요 지수 마감 현황S&P 500: 5,282.70 (+0.13%, +7.00p 상승)나스닥: 16,.. 2025. 4. 18. [4/17 한은 금리동결] 물가 불안 속 '숨고르기'… 인하 신호 속 '신중 모드' 유지 안녕하세요! 오늘(4월 17일) 오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75%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5년 2월, 금리를 2.75%로 인하한 이후 첫 동결 조치입니다. 대체로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결정이었습니다.이번 동결은 여전히 목표 수준(2%)을 웃도는 물가에 대한 부담과 최근 급격히 부상한 **경기 둔화 및 금융 불안 우려** 사이에서 한국은행이 신중한 자세를 유지하며, 지난 금리 인하의 효과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이어진 기자 간담회에서는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신중한 태도가 엿보였습니다.🤷♀️ 금리 동결, 왜? 한은의 결정 배경'물가 안정' 최우선 과제: 물가 상승률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2025. 4. 17. [4/16 미국 증시] 파월 '관세' 경고 + 엔비디아 쇼크! 기술주 투매에 나스닥 3%대 급락 안녕하세요! 2025년 4월 16일 (수요일, 미국 현지 시간) 마감된 미국 증시 시황, 핵심만 짚어드립니다. 간밤 뉴욕 증시는 전날의 기록적인 폭등세가 무색하게 하루 만에 다시 급락세로 돌변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직접 나서 관세의 부작용을 경고하며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고, 전날 장 마감 후 터진 엔비디아의 대규모 비용 발생 예고 충격파가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세계적인 반도체 장비 기업 ASML의 실적 부진까지 겹치며, 기술주 중심의 투매 현상이 나타나 3대 지수 모두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다시 '공포'에 휩싸이는 모습입니다.📈 이날의 처참한 성적표: 주요 지수 마감다우존스: 39,669.39 (-1.73%, -699.57p 하락)S&P 500: 5,275.70 (-2.24%.. 2025. 4. 17. TQQQ SOXL 투자, 변동성 끌림 주의! 고금리 시대 생존 전략 이번 시간에는 변동성 끌림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나스닥 3배 레버리지 ETF인 TQQQ와 미국 반도체 ETF 3배 레버리지 SOXL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유의사항, 특히 현재와 같은 고금리 환경에서 투자 손실을 막고 현명하게 투자할 수 있는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레버리지 ETF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보시고 투자 판단에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01. 변동성 끌림이란? (레버리지 ETF 투자 핵심 개념)레버리지 상품인 특정 지수를 배수로 추종하는 상품을 운용할 때, 특성상 변동성 끌림에 의해 자신의 평가금액이 감소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3 배수인 ETF는 무조건 변동성 끌림이 발생하며 TQQQ와 SOXL을 비교해 봤을 때 SOXL이 변동성 끌림이 더 큰 .. 2025. 4. 16. 이전 1 2 3 4 5 ··· 10 다음